본문 영역으로 바로가기
문화로 읽는 부산 동영상

문화로 읽는 부산




강좌소개

이 강좌는 문화를 키워드로 부산의 속살을 들여다보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문화란 하나의 공동체가 외부 조건에 맞서 오랜 세월 동안 자신의 몸속에 새겨놓은 내적 질서입니다. 한국문화가 일본문화와 다르듯, 부산문화는 한국의 여러 지역과 비교해 분명히 다른 문화적 특징을 띠고 있습니다.

‘개방성’과 ‘혼종성’으로 압축될 수 있는 부산의 문화적 특징은 100년이라는 짧은 도시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것이지만, 일제강점기와 전쟁, 피난, 그리고 압축적 경제성장이라는 한국의 근대사를 매우 특이한 형태로 내면화하여 간직하고 있습니다.

이 강의를 통해, 우리는 하나의 도시가 자신의 생명을 보존해온 방식을 들여다보면서, ‘우리’라는 공동성의 실체를 보다 분명히, 그리고 보다 깊이 파고 들어가 부산이 꿈꿔야 할 미래가 어떤 것인지 가늠해 보고자 합니다.

 

학습목표

본 강좌는 다양한 문화를 통해, 부산의 독특한 장소성과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문화와 시민사회의 새로운 대안을 상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부산의 지리와 역사에 대한 이해

-부산의 문화유산 소개와 문화의 사회적 역할

-개방성과 혼종성으로 압축될 수 있는 부산의 문화적 특징

-지역공동체와 시민사회를 위한 새로운 상상

 

강좌 소개 영상



 

수업계획

주차주차명 차시 차시명(소주제)
1주차

부산하면 바다지!

1-1

해양레저문화의 기원; 해수욕에서 윈드서핑까지

1-2

원더풀 해안선!; 달맞이언덕, 영도, 송도

1-3

해운대 마린시티의 눈부신 아름다움과 절망적 슬픔

2주차

시장에서 만나는 부산

2-1

구포시장, 동래시장; 지워낸 부산의 과거

2-2

자갈치시장, 평화시장; 역사적 격랑이 만든 부산

2-3

국제시장; 부산의 두 기질, 개방성과 혼종성

3주차

문화란 무엇인가?

3-1

정체성 구성의 요소들; 공통감성·언어·미래

3-2

하나의 부산과 부산의 복수성

3-3

기억과 문화; 스펙터클의 미감

4주차

부산의 언어문화

4-1

언어의 힘; ‘우리가 남이가에서 자갈치아지매까지

4-2

사투리vs표준어의 긴장과 갈등의 현장

4-3

대중 미디어에서의 부산 사투리의 지위

5주차

부산의 음식문화1

5-1

음식의 문화적 가치

5-2

도시화 이전의 부산 음식들; 재첩국과 동래파전

5-3

일제강점기와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이 낳은 음식들; 어묵, 돼지국밥 등

6주차

부산의 음식문화2

6-1

부산의 산업화와 그 음식; 조방낙지와 문현곱창

6-2

한일협정과 일본 관광지로서의 부산과 음식; 활어회, 한정식

6-3

전통의 계승과 창안; 매운 떡볶이

7주차

경계문화

7-1

경계문화란 무엇인가

7-2

국한국의 끝, 부산과 왜관

7-3

경계문화의 역할과 가능성; 상해거리와 이슬람사원

8주차

부산의 상징물; 부산타워와 광안대교

8-1

뜨내기들의 주인 되기; 낙동강하구언 조형탑

8-2

부산시립박물관의 공간 구성과 시민 생산 방식

8-3

산업도시에서 탈산업도시로; 부산타워에서 광안대교로

9주차

부산의 근대화 과정과 지리적 확장

9-1

부산의 시작을 알리는 두 개의 축; 중앙동과 동래

9-2

부산의 산업화와 탈식민적 시민주체의 생성; 서면

9-3

메갈로폴리스를 꿈꾸는 부산; 해운대

10주차

공론장과 시민문화

10-1

대학교 운동장은 왜 모두 산으로 갔는가?

10-2

공적 영역의 사적 영역화; 부산역 광장

10-3

공론장의 역할과 시민사회의 필요성

11주차

11. 사상 가치: 12. 사상과 세계관

11-1

프로 스포츠의 두 얼굴; 집단적 동일성과 스포츠맨십

11-2

부산 싸나이; 젠더 투쟁의 장소

11-3

새로운 공통감성의 모색

12주차

등산도 문화일까?

12-1

건강과 힐링의 이면; 개인과 고독

12-2

한국의 산업화와 공동체의 붕괴

12-3

이사 없는 우리 동네의 꿈

13주차

부산 로컬문화의 가능성과 한계

13-1

홍대문화 vs 경대문화

13-2

식민도시; 지역 생산의 역사

13-3

문화의 힘; 주체성과 자율성

14주차

종합평가

14-1

종합평가

 

 

강좌운영계획

총 14주차의 학습과정을 통해서, 정해진 성적 규정을 통과한 학습자에 한해서 이수증을 발급합니다.

(퀴즈 50%, 과제 20%, 종합평가 30% 중 60점 이상 취득자)

 

 

교수소개

박훈하 교수, 약력<br>1997년8월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현대문학비평)<br>2004년2월 비평전문지 오늘의 문예 비평 편집주간<br>2009년 2월 일본 세이난가쿠인 대학 교환교수<br>2010년2월 부산 작가회의 이사<br>2012년 2월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소장<br>2013년 2월 경성대학교 문화발전연구소 소장<br>저서<br>근대문학담론의 확산과 변형(세종출판사)<br>2000, 문화가 선 자리(세종출판사)<br>문화의 풍경, 이론의 자리(비온후)<br>나는 도시에 산다(비온후)<br>부산음식의 역사, 생성과 변화((부산발전연구원)<br>후쿠오카 밖에서 안으로(비온후)<br>지금 로컬리티의 미학(신생)

 

TA소개

신민희 경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현대문학 전공), dekkimasu@naver.com

강좌지원팀

경성대학교 K-MOOC 사업단, 박경수, helpksmooc@gmail.com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분야

    인문
    (인문과학)
  2. 강좌 내용의 어려운 수준을 의미합니다. 교양, 전공기초, 전공심화 순으로 난이도가 증가합니다.

    난이도

    교양
  3.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운영기관

    경성대학교
  4.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전화번호

    -
  5.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주차
    (주간 학습 권장 시간)

    14주
    (주당 02시간 00분)
  6.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50시간 00분
    (30시간 00분)
  7.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수강 신청 기간

    2019.09.16 ~ 2019.12.28
  8.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강좌 운영 기간

    2019.09.25 ~ 2019.12.31